Animal Pictures Archive mobile
Query: 개과Result: 6th of 88
[남한 천연기념물 제53호] 진도의 진도개
Subject: [남한 천연기념물 제53호] 진도의 진도개
Korean Dog Breed - Jindo (Yellow).jpg
Resolution: 750x531 File Size: 175212 Bytes Upload Date: 2005:04:27 12:26:32

[남한 천연기념물 제53호] 진도의 진도개


확실한 근거를 알 수 있는 자료는 없으나 석기시대 사람들이 기르던 개의 후예가 전해 내려오면서 진도라는 특수한 환경에 토착화한 우리나라 고유의 개라고 생각된다. 또한 1938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이후에도 진도견보다 진도개로 불리어와서 1993년 4월 진도의 진도견을 진도의 진도개로 문화재 지정명칭을 바꾼 바 있다.

1986년 4월 30일 현재 6개월령(齡) 이상 성견(成犬) 사육(飼育) 호수(戶數)와 마리수는 3,517호에 3,887마리이고 암수 비율은 대략 4:1(78.1:21.9)이었으며 4마리 이상 집단 사육 가구수는 10호로 전체의 0.3%에 불과하고 성견(成犬)의 96%가 1∼2마리씩 사육하는 일반 가정에 있다. 따라서 보호 대책은 사육자 전체를 생각해야 할 것이다.

현재 진도개의 체형 및 품성에 관한 사육자들의 견해는 몸집이 커지면 더욱 영민해짐과 동시에 사나워졌다는 편이 많은데 이는 환경의 변화에 따른 결과나 선입견일 뿐 실제 혼혈에 의한 유전적 변화의 증거는 없으며 앞으로의 개량방향은 현상 보호 유지와 새로운 계통(진도개의 수렵견 계통과 번견 계통) 육성의 이원적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사료는 잔반(殘飯)을 이용하거나 별도로 개사료를 배합 조리해 준다고 하더라도 곡식 위주가 되기 때문에 불균형한 영양섭취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는 비만견을 만들 소지가 되며 아울러 질병에 대한 저항력 감퇴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개는 본래 육식동물이란 점을 감안하여 전용사료의 생산 공급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진도개 보호육성위원회(1986)에서 밝혀진 진도개의 보호 육성에 관한 기초 연구에 따르면 대략 다음과 같다. 수컷과 암컷의 정상 체형은 체고(體高)가 43.94∼52.20㎝와 42.18∼48.60㎝이다. 십자부고(十字部高)는 44.45∼52.49㎝와 42.93∼49.49㎝이다. 몸길이는 48.33∼55.65㎝ 와 45.98∼52.85㎝, 체고에 대한 몸길이의 비는 100.0∼116.4㎝와 99.7∼117.5㎝이다. 흉위(胸圍)는 51.80∼60.24㎝와 48.40∼56.40㎝ 복위(腹圍)는 39.71∼48.75㎝와 37.42∼47.88㎝이다. 수컷과 암컷의 두부(頭部)형태는 두개장(頭蓋長)이 10.32∼12.26㎝와 9.71∼11.37㎝ 이간(耳間)거리는 7.52∼9.22㎝와 7.12∼8.52㎝이다. 눈의 홍채색(虹彩色)은 털 색깔과 무관하여 다갈색 개체가 전체의 91.7%이고 회색 개체가 8.3%안팎이다. 비경색(鼻鏡色)은 백색개의 경우 흑색과 홍다색(紅茶色)이 반반이었으나 황색개는 대부분 흑색이어서 털 색깔과 연관하여 유전함을 알았다. 꼬리길이는 수컷이 27.01+3.1㎝로 25.30+2.5㎝인 암컷보다 길지만 몸길이 또는 체고에 대한 비율은 암수간에 차이가 없고 꼬리형은 장대꼬리가 전체의 49.60%, 한쪽으로 넘긴 형이 20.63%, 말린 꼬리가 9.37%, 짧은 꼬리가 0.4%이다. 털 색깔의 비율은 황색이 전체의 54.77%, 백색이 38.56%, 흑색이 3.27%, 적색이 1.03%, 기타 반문(斑紋)인 것이 2.37%로 암수의 분포차이는 없었으며 긴 털의 개체도 전체의 8.33%나 된다.

출처: 남북한의 천연기념물 http://nm.nktech.net/

Comments
Guest
진돗개 [珍島犬(진도견), Jindo Dog]
식육목(食肉目) 개과의 포유류.

지정번호 천연기념물 제53호
지정연도 1962년
종류 포유류 식육목 개과

한국 특산의 개 품종이다. 1962년 천연기념물 제53호로 지정되었다. 확실한 유래는 알 수 없으나 석기시대의 사람들이 기르던 개의 후예라고 할 수 있는 개 중에서 나온 동남아시아계의 중간형에 속하는 품종이다. 그 기원에 대해서는 중국 남송(南宋)의 무역선에 의해 유입되었다는 설이 있으나, 1270년 삼별초의 항쟁이 일어났을 때 몽골에서 제주도 목장의 군용 말을 지키기 위해 들여왔다는 설이 유력하다. 대륙과 격리된 채 비교적 순수한 형질을 그대로 보존하여 오늘의 진돗개가 되었다.

키는 수컷이 48∼53㎝이고 암컷은 45∼50㎝이며, 털빛깔과 무늬에 따라 황구, 백구, 재구, 호구, 네눈박이 다섯 종류로 구분된다. 그러나 돌연변이 유색견으로서 붉은 불개 바둑이 등의 색상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

얼굴은 정면에서 보면 거의 팔각형을 이룬다. 눈은 붉고 둥근듯하며 눈꼬리는 약간 치켜올라가 귀밑 선상에 맞아야 한다. 귀는 앞으로 약간 경사져 곧게 선다. 목은 굵어서 힘이 있고 다부지게 보인다. 등은 좌골뼈에서 부터 약간의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등털은 중장모로써 힘이 있어 낚시바늘이나 가시와 같다. 다리는 강건하고 앞다리와 뒷다리는 모두 자연스럽게 똑바로 곧게 선다. 꼬리는 항문에서 부터 수직으로 위쪽으로 7㎝~8㎝이상 올라갔다가 좌나우로 똑바로 말리거나 서거나 한다. 꼬리의 길이는 비절에 다을 정도가 알맞고, 꼬리털은 바깥쪽으로 쭉 뻗은 부채형이 바람직하다. 1년에 새끼를 2회 낳으며, 임신기간 58~63일 만에 한 배에 3∼8마리를 낳는다. 감각이 매우 예민하고 용맹스러워서 집도 잘 지키지만 사냥에도 적합하다. 쥐 사냥도 잘하고 고양이를 공격하기도 한다.

1938년 일본인 모리 다메조[森爲三]가 체구·체고·체모에 대해 관찰하여 한국 특유의 양축동물이라고 하였다. 2005년 국견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6개월령 이상 성견(成犬) 사육 호수는 7만 가구 에 이르며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2000년 6월 12일 전 대통령 김대중이 북한 방문 시 '우무종 연구소'에서 기증한 평화·통일이라는 진돗개를 북한에 전달하였다. 현재는 문화재관리법과 한국진돗개보호육성법(1967년 1월 16일 공포)에 따라 보호 육성되고 있다. 1995년에는 국제보호육성동물로 공인 지정되었다. 1997년 2차로 개정해 관리되고 있다.

개과
6/88
| Mobile Home | New Photos | Random | Funny | Films | Korean |
^o^ Animal Pictures Archive for smart phones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