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imal Pictures Archive mobile
Query: 말똥가리Result: 24th of 114
어치 (동물이름사전)
Subject: 어치 (동물이름사전)
어치 Garrulus glandarius (Eurasian Jay).jpg
Resolution: 150x130 File Size: 4693 Bytes Upload Date: 2006:12:24 14:10:02

어치 (동물이름사전)


어치
영명: common jay, Eurasian jay
학명: Garrulus glandarius

[분류] 참새목(Passeriformes) 까마귀과(Corvidae)에 속한 새.

[형태] 몸길이 35 ~ 37cm. 몸은 분홍색을 띤 갈색이며 허리는 눈에 띄는 흰색, 꼬리는 검은색이다. 날개깃에는 청색과 검은색의 가로무늬가 있으며 날개에는 뚜렷한 흰색 반문이 있다. 머리꼭대기에는 세로무늬가 있고 낮은 댕기가 있다. 폭넓은 검은색의 뺨선이 있다.

[울음소리] 어치는 '갸아, 갸아, 갸아' 하고 심하게 소리를 내며, 때로는 가는 소리로 '쀼우, 쀼우' 하고 휘파람과 같은 소리를 내기도 한다.

[서식지] 어치는 임지와 구릉 및 산록의 산림 지대에 서식한다.

[번식] 어치는 평지 및 산지에 있느 교목의 나뭇가지 위에 나뭇가지, 나무 껍질, 선태류 등을 흙으로 굳혀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청록색에 엷은 갈색 반점이 있는 알을 4 ~ 8개 낳는다.

[행동양식] 어치는 산지에서 번식하나, 겨울에는 산록과 저지로 표행한다. 겨울에는 숲 속을 표행하는 대개 5 ~ 6개체, 때로는 20개체 이상의 작은 무리를 볼 수 있다.

[분포] 어치는 구북구. 영국에서 일본까지 주로 북위 40o ~ 60o 사이의 유럽과 아시아에 걸쳐 분포하며, 동남 아시아에서는 열대까지 그리고 스칸디나비아에서는 북극권 바로 밑까지 분포한다. 대개 정주한다.

[현황] 어치는 우리나라 전역에 서식하는 흔한 텃새이다.

참고자료: 원병오, "한국의 조류", 교학사, 1993

Comments
Guest
어치 [jay]
참새목 까마귀과의 조류.

학명 Garrulus glandarius
분류 참새목 까마귀과
생활방식 무리 생활
크기 몸길이 약 34cm
색 분홍빛을 띤 갈색(등·배), 검정색(꽁지)
생식 1회에 4~8개의 알을 낳음
서식장소 산지 숲
분포지역 북위 40∼60°의 유럽과 아시아

몸길이 약 34cm이다. 등과 배는 분홍빛을 띤 갈색이다. 허리의 흰색과 꽁지의 검정색이 대조적이고, 날개 덮깃에는 청색과 검정색 가로띠가 있다. 날개에는 흰색 무늬가 뚜렷하다. 참나무 열매를 즐겨 먹기 때문에 분포 지역이 참나무와 일치하는데, 학명 중 glandarius는 ‘도토리를 좋아하는’이라는 뜻이다. 양쪽 다리를 함께 모아 걷거나 뛰기 때문에 나뭇가지를 옮겨다닐 때나 땅 위에서 걸을 때 둔해 보인다.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고 먹이를 숨겨 두는 습성이 있다. 날 때는 날개를 천천히 퍼덕여 날아오른 뒤 대체로 파도 모양을 그리며 난다. 경계할 때에는 맹렬하게 우는데, 가는 소리로 ‘쀼우, 쀼우’ 하고 휘파람 소리를 내기도 하고 다른 새나 고양이·말똥가리의 울음소리를 교묘하게 흉내내기도 한다.

4∼6월 하순에 연 1회 번식하며 한배에 4∼8개의 알을 낳는다. 잡식성으로 동물성 먹이와 식물성 먹이를 섞어 먹지만 식물성을 더 많이 먹는다. 주로 북위 40∼60°의 유럽과 아시아에서 텃새로 살고 일부는 겨울을 나기 위해 남쪽으로 이동한다. 한국에서는 전역에 번식하는 흔한 텃새이다.
Guest
어치(산까치)

도토리 즐겨먹는 ‘가짜 비둘기’...... 다른 새소리 흉내도 잘 내

남도의 명산, 금산은 아직도 울창한 숲과 독특한 생태계를 유지하며 각종 동·식물 자원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이곳에는 당연히 새의 종류와 숫자도 많다. 보리암을 찾아가는 길에 연신 들려오는 새소리를 감상하며 산을 오르는 것도 또다른 즐거움이다.

어치(산까치)는 금산에 사는 새 중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고 예쁜 모양을 하고 있다. 참새목 까마귀과 어치속에 속하는 흔한 텃새로 숲이 우거진 표고 1200m쯤의 한라산, 설악산, 지리산 중턱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한다.

까치보다는 작고 몸은 대개 갈색이지만 머리에는 세로로 검은 얼룩무늬가 있고, 등과 허리는 포도주색, 위꼬리덮깃은 흰색이다.

어치의 옛이름은 '가짜 비둘기'라는 뜻의 '가(假)비둘기(鳩)'와 '언치새'로서 이것이 어치의 어원으로 추정된다. 어떤 곳에서는 이 어치를 산에 있는 까치라고 생각해 ‘산까치’라고도 부른다.

어치의 학명은 Garrulus glandarius인데 Garrulus는 '잘 떠든다'는 뜻이며 glandarius는 '도토리를 좋아하는 이'란 말이므로 '도토리를 잘 먹으며 시끄럽게 우는 습성을 가진 새'라는 풀이가 된다. 영어이름도 Jay인데 '잘 지껄이는 사람'이란 속어로 쓰이므로 이 새의 생태적 특징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때때로 어치는 다른 새를 비롯해 고양이, 매, 말똥가리 등의 울음소리를 그럴 듯하게 내기도 한다.

알을 낳는 시기는 4월 하순에서 6월 하순까지이고 한 배 산란수는 4~8개이다. 식성은 포유류의 설치목, 조류의 알과 새끼, 연체동물 등과 벼, 옥수수, 콩, 과실 등 동식물성 먹이를 모두 먹는다.

가을에는 신갈나무나 졸참나무 등의 도토리가 여물면 그 나무위나 밑에서 분주히 움직이는 새가 있는데 그게 바로 어치다. 어치는 야생조류가 가장 지내기 힘든 겨울에 대비해 도토리를 몰래 숨겨놓고 나중에 찾아 먹는다. 도토리를 열심히 먹으면 목 부분이 포대처럼 부풀어 오르는데 그곳에 4,5개 또는 10개 정도의 도토리를 담아 저장장소에 숨긴다. 이 행동은 도토리가 여물기 시작할 때부터 눈이 많이 쌓일 무렵까지 계속된다.

그들은 기억력이 좋기 때문에 겨울이 되면 나뭇가지 사이나 땅바닥의 구멍 등 여러 곳에 숨겨둔 먹이를 금방 찾는다.

글출처: 남해군청(www.namhae.go.kr)

말똥가리
24/114
| Mobile Home | New Photos | Random | Funny | Films | Korean |
^o^ Animal Pictures Archive for smart phones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