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imal Pictures Archive mobile
Query: 애벌레Result: 217th of 1297
이화명나방
Subject: 이화명나방
Source: http://web.edunet4u.net/~nature/insect/i480.htm
i480.jpg
Resolution: 295x245 File Size: 17204 Bytes Upload Date: 2008:02:14 00:27:27

이화명나방


이화명나방

이화명나방
나비목/명나방과

학 명
Chilo
suppressalis
길 이
날개길이 22∼34
mm
머리는 백갈색 비늘로 덮였으며 이마는
원뿔상으로 돌출되었다. 앞날개의 바탕색은 황회색이며 흑갈색 비늘이
섞여 있고 바깥가두리를 따라 7개의 작은 흑점이 줄지어 있다. 수컷은
암컷에 비해 약간 작으며 빛깔이 다소 짙다. 뒷날개는 보통 백색을 나타내나
갈색미가 섞인 경우도 있다. 알은 납작한 타원형으로 길이는 약 1 mm이며
잎뒷면에 물고기 비늘 모양으로 낳는다. 유충은 이화명충이라고도 하며
몸길이가 25 mm 정도로 담갈색이고 등에서 옆구리에 걸쳐 5줄의 세로선이
있다. 유충은 노숙 유충태로 볏짚이나 벼 그루터기에서 월동하며 볏짚에서
더 많이 겨울을 지낸다. 연 2회 발생하는데, 발생시기는 해와 지역에
따라서 다르며 대체로 중부지방이 빠르고 남부지방이 늦다. 겨울을 지낸
유충은 나방이 되어 탈출하여 나오기 쉬운 곳에서 탈출할 구멍을 만들어
놓고 번데기가 된다. 번데기 기간은 10∼14일이고, 5월 상순부터 1화기
성충이 출현하여 6월 상·중순에 가장 많이 나온다. 성충의 수명은 4∼7일,
알을 낳는 기간은 3일이다. 2화기 성충이 가장 많이 나오는 시기는 대개
8월 상·중순이며 성충의 수명은 평균 6일이고 알기간은 3일이다. 1화기는
잎에 산란된 알이 부화하여 유충이 무리를 지어 살다가 실을 토하면서
다른 포기로 분산되며 초기에는 잎을 가해하다가 잎집 속으로 파고들어가
약간 자라면 줄기 속으로 먹어 들어간다. 2화기는 수잉기나 출수기에
피해를 받게 되는데 벼가 출수 중에 죽거나 백수가 되어 수량에 영향이
크고 심할 경우에는 벼포기가 쓰러지는 경우도 있다. 유충은 벼를 주로
가해하지만 피·갈대·줄풀 등도 가해한다.

애벌레
217/1297
| Mobile Home | New Photos | Random | Funny | Films | Korean |
^o^ Animal Pictures Archive for smart phones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