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imal Pictures Archive mobile
질의: 두루미결과: 79번째/3083
재두루미 (동물이름사전)
제목: 재두루미 (동물이름사전)
올린이: Administrator (kusnij@naver.com)
White-naped Crane.jpg
해상도: 150x130 파일크기: 6982 Bytes 등록시간: 2005:10:12 16:24:50

재두루미 (동물이름사전)


재두루미
영명: white-naped crane
학명: Grus vipio

[분류] 두루미목(Gruiformes) 두루미과(Gruidae)에 딸린 새.

[형태] 높이 1.2 ~ 1.5m, 몸무게 4.8 ~ 6.4kg, 양날개를 펼쳤을 때 수컷은 50.8 ~ 58.4cm, 암컷은 52.1 ~ 55.9cm 정도이다. 머리와 목은 흰색이며, 몸은 회색이다. 몸의 회색 부분은 목으로 올라가면서 점점 좁아져서 눈 바로 아래에서는 가는 줄로 되어 있다. 눈 앞은 나출된 피부가 붉은색이며, 부리는 황록색이다. 어린새는 머리와 목은 적갈색, 턱은 황백색, 가슴과 배는 회색, 꼬리와 날개는 흑회색을 띤다.

[울음소리] 재두루미는 과시 행동을 할 때 '큐웃, 큐루루루루, 코로로, 코로로, 코로로, 쿄로로, 키로로' 또는 '쿠쿠쿠쿠쿠쿠루루-, 쿠쿠-, 쿠루루' 하고 울며, 일제히 울 때는 '가-오우, 가-오우' 하고 시끄럽게 운다.

[서식지] 개활지, 논, 소택지, 하구, 갯벌, 초습지 등지에 서식한다. 재두루미는 확 트인 곳을 좋아한다.

[먹이] 초식성 : 재두루미는 사초속 식물의 덩이줄기, 풀씨, 쌀, 밀, 약간의 곤충, 벌레, 유충 따위를 먹는다.

[행동양식] 재두루미는 주행성이며 해가 뜨면 둥지에서 떠나 먹이를 구하며 해가 질 때쯤에 다시 둥지로 돌아온다. 자신의 영역에 대한 텃세가 있다.

[번식] 동물원에서는 12살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번식기동안에는 암수가 쌍을 지어 생활하며 쌍을 이룰 때는 정교하고 화려한 구애행위를 행한다. 짝을 지은 재두루미는 습지의 작은 섬에 넓적하고 가운데가 약간 패여 있는 둥지를 튼다. 산란기는 4 ~ 5월경이며 엷은 갈색 바탕에 암갈색의 얼룩무늬와 반점이 많이 있는 알을 2개 낳는다. 암수가 교대로 알을 품으며 30 ~ 33 일이 지나면 부화한다. 부모의 보호아래 약 70일이 지나면 새끼는 둥지를 떠난다.

[분포] 중국, 우수리, 한카호 분지, 몽고, 만주, 한국, 일본 큐우슈우 등지에 분포한다.

[현황] 재두루미는 우리나라에서는 드문 겨울새이며 나그네새이다. 김포군 시암리, 후평리, 판문점 부근, 철원 부근의 비무장 지대와 낙동강 하구, 주남저수지 등지에서 규칙적으로 도래한다. 한때 우리나전역에 1천여 마리가 무리지어 월동했지만 6.25를 거치며 부쩍 줄어들어 이젠 20 ~ 30마리도 한꺼번에 보기 어렵게 됐다. 1997년 현재 전 세계적으로 3천여마리밖에 남아 있지 않다. 종 자체를 천연기념물 203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참고자료: 원병오, "한국의 조류", 교학사, 1993

댓글
손님
재두루미 [white-naped crane]
두루미목 두루미과의 조류.

학명 Grus vipio
지정번호 천연기념물 제203호
지정연도 1968년 5월 30일
소재지 시베리아·우수리·몽골·중국(북동부)
크기 몸길이 127cm
종류 조류 두루미목 두루미과

몸길이 127cm의 대형 두루미이다. 머리와 목은 흰색이고 앞목 아랫부분 3분의 2는 청회색이다. 몸의 청회색 부분은 목 옆으로 올라가면서 점점 좁아져서 눈 바로 아래에서는 가는 줄로 되어 있다. 가슴은 어두운 청회색이고 배와 겨드랑이는 청회색, 아래꼬리덮깃은 연한 청회색이다. 눈 앞과 이마 및 눈가장자리는 피부가 드러나 붉고 다리도 붉은색이다.

주로 습지 풀밭이나 개펄에 산다. 한국에서는 큰 강의 하구나 개펄, 습지, 농경지 등지에서 겨울을 난다. 겨울에는 암수와 어린 새 2마리 정도의 가족 무리가 모여 50∼300마리의 큰 무리를 짓는다. 긴 목을 S자 모양으로 굽히고 땅위를 걸어다니면서 먹이를 찾는다. 날아오를 때는 날개를 절반 정도 벌리고 몇 걸음 뛰어가면서 활주한 다음 떠오른다. 날 때는 V자형 대형을 이루나 수가 적은 경우에는 직선을 이루기도 한다. 앞이 탁 트인 개펄이나 습지 풀밭에서 무리지어 잔다. 밤에는 흑두루미처럼 한쪽 다리로 쉬되, 목을 굽혀 머리를 등의 깃 사이에 파묻는다. 4월경에 한배에 2개의 알을 낳는다.

식성은 주로 벼·보리·풀씨 및 화본과식물의 뿌리 등 초식성이나 작은 물고기나 새우·고둥·곤충 등의 동물성 먹이도 잡아먹는다. 한강 하구에서는 수송나물·칠면초·매자기 등의 풀씨와 매자기 뿌리의 녹말도 먹는다. 시베리아·우수리·몽골·중국(북동부) 등지에서 번식하고 한국·일본·중국(남동부)에서 겨울을 난다. 한국에서는 10월 하순에 찾아와 이듬해 3월 하순에 되돌아가는 드문 겨울새이다. 한반도를 지나가는 나그네새이기도 하다. 1945년 이전까지는 1,000마리 정도의 무리가 각지에서 겨울을 났으나, 그 후 점차 줄어들어 6·25전쟁 이후에는 수십 마리 단위로 줄어들었고 최근에는 불과 20~30마리의 무리도 보기 어렵게 되었다. 1968년에 천연기념물 제203호로 지정되었다. 한편 한강 하류의 도래지는 제250호로 지정하여 보호 관찰하고 있다.

두루미
79/3083
| 똑똑누리집 | 신규 사진 | 아무거나 | 동물유머 | English |
^o^ 동물그림창고 똑똑전화 누리집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