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imal Pictures Archive mobile
질의: 올빼미결과: 41번째/294
금번 조사에서 진홍가슴, 큰부리밀화부리, 바다제비, 붉은배지빠귀 등 조류 25종이 관찰됐으며 멸종위기종인 매와 올빼미도 확인됐다. 개체수가 가장 많은 괭이갈매기(사진)도 600여쌍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제목: 금번 조사에서 진홍가슴, 큰부리밀화부리, 바다제비, 붉은배지빠귀 등 조류 25종이 관찰됐으며 멸종위기종인 매와 올빼미도 확인됐다. 개체수가 가장 많은 괭이갈매기(사진)도 600여쌍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출처: http://www.ecojournal.co.kr/news_view.html?code=...
1116980703̰ű.jpg
해상도: 600x450 파일크기: 134436 Bytes 촬영일: 2005:04:30 11:30:36 사진기: C4100Z,C4000Z (OLYMPUS OPTICAL CO.,LTD) F number: f/4.0 Exposure: 10/10000 sec Focal Length: 191/10 등록시간: 2008:03:19 16:09:49

금번 조사에서 진홍가슴, 큰부리밀화부리, 바다제비, 붉은배지빠귀 등 조류 25종이 관찰됐으며 멸종위기종인 매와 올빼미도 확인됐다. 개체수가 가장 많은 괭이갈매기(사진)도 600여쌍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신개념환경신문 " 에코저널"

이와 함께 독도 입도 규제완화로 탐방객이 늘면서 독도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괭이갈매기 번식기에 빈번한 출입 등은 괭이갈매기 번식에 큰 영향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부가 독도에 대한 장·단기적인 생태계 영향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최근 실시한 봄철 조사에서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국립환경연구원의 생태조사단과 외부전문가 등 15명이 참여해 조류, 식물상 등 7개 분야에 걸쳐 정밀조사를 실시했다.

금번 조사에서 진홍가슴, 큰부리밀화부리, 바다제비, 붉은배지빠귀 등 조류 25종이 관찰됐으며 멸종위기종인 매와 올빼미도 확인됐다. 개체수가 가장 많은 괭이갈매기(사진)도 600여쌍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에 처음으로 관찰된 올빼미, 소쩍새, 뿔쇠오리, 쇠붉은뺨멧새, 흰배멧새, 까마귀 등 6종을 포함하면 지금까지 관찰된 종은 총 72종, 멸종위기 Ⅰ급은 매, 멸종위기 Ⅱ급은 물수리, 참매, 말똥가리, 뿔쇠오리로 조사됐다.

올빼미
41/294
| 똑똑누리집 | 신규 사진 | 아무거나 | 동물유머 | English |
^o^ 동물그림창고 똑똑전화 누리집 ^o^